유레칸 2024. 11. 27. 12:49

 

2019년 3월 14일에 만들어진 알트코인으로,

현재는 폐쇄형 메인넷 상태이며,

2024년 7월 기준 전 세계 활성화된 가입자는 6,000만 이상이다.


특징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을 기반으로 한다.
24시간에 한 번씩 채굴 버튼을 누르면 채굴이 이루어진다. 휴대폰을 꺼놔도 채굴이 되며, 채굴이 휴대전화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이것은 채굴이라기 보다는 Pi Network 커뮤니티에 기여한 리워드이다.
추천인 제도가 있고, 추천인을 많이 모으면 채굴 속도가 빨라진다. 파이 네트워크의 방식은 옛날에 상장폐지된 블러드코인이라는 스캠코인의 방식과 완전히 유사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다단계, 스캠이라는 의혹이 있다.
파이 네트워크는 현재 개발 중인 상태이고 현재까지는 KYC를 통과한 유저들끼리 폐쇄형 메인넷 안에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한 상태이다.
현재 폐쇄형 메인넷 상태에서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다. 5초 미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현재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되었으며, KYC 인증에 성공한 사람 한정으로 거래가 가능해졌으나, 얼만큼의 가치가 될지는 미지수이다.
보통은 거래소에 상장한 후 거래소에서 KYC 인증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파이 네트워크 내에서 자체적으로 KYC 인증을 진행한다. KYC 인증은 여권 정보, 얼굴 사진,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다수 포함되어있으며, 때문에 파이 네트워크가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목적일 가능성이 일부 존재한다.

 

진행 및 개발 현황

  • 2022년 2월에 락업이 진행되었다. 자발적으로 락업을 할수 있는, 즉 선택이며 락업할 코인의 양과 기간을 높게 잡을수록 채굴 속도가 빨라진다.

    2022년 3월 14일부터 폐쇄형 메인넷이 시작되었다. KYC도 이때부터 제대로 시작되었다.

    2022년 6월 28일, 즉 Pi2Day에 이제부터 메인넷 지갑에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된다는 소식을 전했다.

    필요한 조건들이 충족되면 2024년 연말에 '개방형 메인넷'을 출시 할 수 있다고 니콜라스 카칼리스가 언급하였다.

 

구조

파이 네트워크 내에서 통용되는 용어이다.
파이오니어는 파이를 소량 얻어갈 수 있다. 아직까지는 알려진 채굴 과정이 없다.
노드는 파이 네트워크의 핵심으로, 말그대로 암호화폐의 노드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아직 확실한 정보는 없으나, 다른 암호화폐의 노드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14만개 정도의 노드가 운영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홍보 대사는 한명을 초대할 때마다 채굴 속도가 증가하며, 이때문에 다단계라는 의심이 존재한다.
보안 서클는 일명 방패라고 불리며, 파이오니어 5명을 추가할수 있고, 5명을 다 채울 경우 채굴 속도가 조금 빨라지게 된다.
폐쇄형 메인넷은 외부와 거래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파이 네트워크 내부에서 일부만 거래가 가능한 상태임을 뜻한다. 테스트넷보다는 진보된 형태.
개방형 메인넷은 파이 네트워크의 현재 목표이며, 외부와 거래가 가능해지며, 쉽게 말하면 이때부터는 제대로된 거래가 가능함을 뜻한다.

 

파이 코어팀

파이 네트워크의 개발진을 파이 코어팀(Pi Core Team)이라고 부른다. 현재 링크드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이 코어팀 직원은 19명[34]이다. 대부분 미국인이고 한국인 개발자 한명이 존재한다.

니콜라스 카칼리스 - 파이 네트워크의 기술 책임자로써, 실질적으로 파이 네트워크를 이끌어나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 출신으로 스탠포드에서 블록체인 관련 강의를 하였고, 스탠포드 내의 비영리 스타트업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는 StartX의 CTO 출신이기도 하다. 청디아오 박사와는 부부 관계이다. 페이스북으로부터 도메인 사용과 관련하여 고소를 당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종 논란 및 비판 문단 참조.

청디아오 판 - 제품 책임자, 니콜라스 박사와 부부 관계

이학경 - 리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초창기부터 코어팀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파이 코어팀의 유일한 한국인 멤버이다.

Aurélien Schiltz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매니저

 

과거

빈센트 맥필립 - 니콜라스, 청디아오와 함께 파이 네트워크의 설립자였던 빈센트 맥필립은 니콜라스 박사 부부와의 갈등으로 파이 코어팀을 떠났고 소송을 진행 중이다.

Justin Wu - 저스틴 우는 커뮤니티 팀 소속이었으며, 코어팀을 떠난 현재도 파이 네트워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파이 네트워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응원 트윗을 남기기도 한다.

 

각종 논란 및 비판

파이 네트워크의 핵심 개발자 중 한 명인 니콜라스가 도메인 사용과 관련하여 페이스북으로부터 고소를 당한 이력이 있다. 2006년 Nicolas Kokkalis가 <facebookdeals.com>이라는 도메인을 등록했는데, 2020년 facebook측에서 UDRP(통일 도메인 이름 분쟁 해결 정책)을 근거로 WIPO(세계지식재산기구)에 중재를 요청하였다. WIPO 중재 및 조정 센터(이하 센터)는 Nicolas Kokkalis에게 답변을 요청했는데 답변은 없었다. 센터는 A. '동일하거나 혼동될 정도로 유사', B. '권리 또는 정당한 이익', C. '악의적으로 등록 및 사용'을 근거로 분쟁 도메인 <facebookdeals.com>을 Facebook에게 이전하도록 명령하였다. 

 

파이 거래

​본인인증(KYC)을 마쳤다면 채굴한 파이를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고, 이 파이를 통해 개인간의 P2P 방식의 거래가 가능하다.(출처:나무위키)

 

심슨에서와 같이 과연 파이가 3000불 또는 그이상에 도달할까요???

 

파이는 스탠퍼드 박사들이 개발한 새로운 디지털 화폐이며 전 세계적으로 55백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합니다. 파이를 받으시려면 링크(https://minepi.com/ChaiSuWon) 참고하시고 가입 시 저의 사용자 이름(ChaiSuWon)을 초대 코드로 입력하세요